본문 바로가기
성상신경절차단술

성상신경절차단술(Stellate Ganglion Block)이란 무엇일까요?

by nsksk-SGB 2025. 11. 8.

 

앞으로 성상신경절차단술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성상신경절이란 무엇인지, 성상신경절의 주요 역할, 성상신경절차단술에 대해 설명드리고 어떤 경우 성상신경절차단술을 시행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 드리겠습니다. 

 

성상신경절이란? 

 

우리 몸에는 교감신경이라는, 긴장·흥분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신경망이 있습니다. 

이 신경망 중에서 경추(C7)와 흉추(T1) 근처에 위치한 별(Stellate) 모양으로 생긴 신경다발(Ganglion)이 있는데, 이것을 성상신경절, 또는 별 신경절이라고 합니다. 

 

성상신경절 모양, 위치
성상신경절 모양, 위치

 

쉽게 말해서, 목 근처에서 상체·팔·머리 쪽으로 가는 교감신경의 주요 중간 정류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상신경절의 주요 역할

 

1. 혈류와 체온 조절

2. 땀 분비 조절

3. 눈과 얼굴의 교감신경 반응

4. 통증 및 염증 반응 조절

5. 자율신경 균형 유지

 

성상 신경절은 교감신경의 허브 같은 곳이라, 이 부위를 잠깐 차단하면(성상신경절차단술, SGB) 교감신경 과활동이 줄어듭니다. 

그래서 통증조절, 혈류개선, 자율신경 불균형 완화 같은 치료에 쓰입니다. 

 

 

 

성상신경절차단술(SGB)란? 

 

성상신경절차단술(Stellate Ganglion Block)이란 성상신경절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교감신경(몸의 긴장·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신경)을 잠깐 차단해 주는 주사 치료입니다. 

 

쉽게 말해, 몸이 과도하게 긴장 상태로 굳어 있는 스위치를 잠시 꺼 두어서 몸과 마음이 안정되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SGB는 어떤 경우에 시행하나요? 

 

● 통증 조절  :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대상포진 후 신경통, 삼차 신경통, 어깨통증, 만성 목 통증, 경추 주변 근육의 긴장 상태완화

 

면역 증강 : 암 환우, 비염, 아토피, 대상포진, 심한 여드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수면장애(불면증), 공황장애 등

 

  기타 : 자율신경실조증, 어지럼증, 다한증, 탈모, 염증조절, 스트레스·불안 ·혈압 변화 등을 완화

 

 

성상 신경절은 교감신경계의 중요한 중계소이기 때문에 여러 부위와 신호를 주고 받습니다. 

 

성상신경절은 교감신경 줄기를 통해 위아래로, 또 혈관 ·땀샘 ·눈 ·팔 ·손으로 넓게 연결되어 있어, 몸이 긴장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반응을 조절하는 허브 역할을 합니다. 

 

성상신경절 차단술(SGB)을 시행하면 이런 긴장 상태를 완화해 주어 몸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몸의 균형을 되찾게 됩니다. 

 

 

성상신경절 차단술 시행 후 정상 반응들

 

성상신경절 차단술 시행 후 호너증후군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눈꺼풀 처짐, 동공축소, 눈충혈, 쉰목소리, 주사부위 불편감 등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교감신경 억제 증상입니다. 보통은 1~4시간 내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현상입니다. 

 

 

열감, 두근거림,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이는 성상신경절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혈류가 두경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은 시술이 정확하게 시행되었다는 것이고, 잠시 앉아 있거나 누워 있으면 곧 회복됩니다. 

 

 

《거제중앙병원 신경외과》-SGB 전문

https://naver.me/xYvdD2R2

 

네이버 지도

거제중앙병원

map.naver.com